빠띠 캠페인즈란?
캠페인
공론장
인물
로그인
사이버렉카,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진행중
빵과장미
내용
팻말
30
소식
3
개인의각성
4
유튜브
4
사이버블링
2
알고리즘
2
유튜브도공범이다
2
팩트체크
2
혐오콘텐츠
2
가짜뉴스
1
법적인규제
1
사이버렉카
1
스스로생각하기
1
악플방지법
1
온라인폭력
1
온라인폭력방지법
1
유투브도공범이다
1
유튜브유
1
혐오가돈이되는매커니즘
1
트리
여전히 해결되지 않는 문제네요.우리 스스로 경각심을 가지고 이슈에 대해 관심을 가지면 좋을 것 같아요.
사이버렉카
사회적 논란과 악성 콘텐츠를 생산, 재생산하는 사이버렉카의 근절을 위해 참여하는 방법에 대해 탐구해보았다. 사이버렉카의 악성 콘텐츠 생산을 근절하기위해 미디어를 사용하는 우리들은 미디어 리터러시가 필요하다. 미디어 리터러시란, ...
사이버 렉카 근절
사회적 논란과 악성 콘텐츠를 생산, 재생산하는 사이버렉카의 근절을 위해 참여하는 방법에 대해 탐구해보았다. 사이버렉카의 악성 콘텐츠 생산을 근절하기위해 미디어를 사용하는 우리들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필요하다.
악플 아웃!
모두 가짜 뉴스에 빠지지 않도록!팩트체크를 잘해봐요
황지수
유익한 소식만을 전해주는 유트버들이 많아졌으면 좋겠습니다
사이버렉카 근절!
사이버렉카 문제가 어서 빨리 해결될 수 있도록 다양한 조치들이 준비되었으면 합니다.
단디
개인적으로는 사이버불링을 조장하는 콘텐츠를 간과하지 않고, 발견할 때마다 꼭꼭 신고하겠습니다. 유튜브 등 사이러렉카가 벌어지는 플랫폼들이 운영 정책, 이런 문제 콘텐츠를 관리하는 규정 등을 이용자들에게 공개하고 개선해나가는 프로...
장미
친구가 사이버 불링을 하면 그냥 넘어가지 않아요. 일상에서도 누군가를 괴롭히는 말을 방관하지 않아요.
phj
이런 콘텐츠는 그냥 보고 넘길게 아니라 앞으로는 신고해야겠어요. 당장은 안 바뀌더라도 말이죠.
갱쓰
규제가 필요하다는 것에 표현의 자유를 이유로 염려를 하는데, 표현이 누군가에게 폭력과 고통이 되는 것이면 자유로울 수 없다고 봅니다.
포도
어느 순간 자극적인 콘텐츠들만 주위에 보이네요. 분명 그렇지 않은 콘텐츠도 많을텐데 알고리즘이 점점 잘못된 방향으로 되고 있는 듯한....알고리즘에서 자체적으로 걸러낼 수 있는 방안이 있다면 상대적으로 이슈가 덜해지지 않을까 싶...
태경
사실 저도 어느순간 방관하고 있던 것 같아요. 그냥 웃고 넘기기만 하고, 크게 생각하지 않았었죠.이번 기회에 관심을 가지고 스스로라도 할 거리를 생각해보려고 해요!
어쩌다
“잘못이다”라고 말하는 것 조차 타겟이 될까봐 무서워요. 방관하는 사이 또 누군가 고통을 겪게 되겠죠. 사회적 합의 이런게 다 사라진것 같은 느낌이에요
익명
잘 모르겠어요. 솔직히 법률이 생긴다고 해도 사각지대는 생길 것 같고.... 이런 일들을 뉴스로 볼 때마다 힘이 빠지네요. 그래도 무언가 해볼 수 있겠죠..? 많은 분들이 적어주면 좋겠네요.
lee
우연히 캠페인을 발견하고 들어왔어요. 사이버렉카라는 표현은 이번에 처음 들었는데요. 루머를 믿기보다는 스스로 생각하는 습관을 길러야겠다고 생각이 들어요!!
네로
우리들이 이 공간에서 글을 올린다는 것 자체가 누군가에게 힘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kim
온라인폭력방지법이 필요합니다!
ijisu
‘설리법’이라 불렸던 ‘악플방지법’도 결국 통과되지 못했다고 알고 있는데, 문제가 터지면 그때 일 뿐. 계속 반복되는 것 같아요.
이지수
알고리즘에 대해 좀 더 심각하게 바라봐야 할 것 같아요. 내가 보고 싶지 않은 콘텐츠도 조회수가 많으면 노출시켜 주더라고요. 자연스레 노출되면 그냥 생각없이 보고 있고.
옹이
온라인의 속도를 법이 따라 잡을 수 있을까요? 개개인의 미디어 리터러시, 분별능력을 더 키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할텐데. 너무 이상적인가?
오동운
사실 뉴스를 봐도 신경쓰지 않고 지나갔던 적이 많았어요. 그런데 매년 반복되는 사건들을 보며 점점 심각해지고 있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개인의 입장에서는 자극적인 콘텐츠들을 걸러서 보고, 사람들이 하는 말들이 진짜인지 팩트체크를 ...
파도
뉴스를 보니(https://www.msn.com/ko-kr/news...) 관련된 법안이 있지만 이 법안이 적용될 수 있는지는 미지수라고 하더라구요. 특히 유튜브처럼 온라인 공간같은 경우 사람을 특정할 수 없기 때문이죠..이럴 ...
퓨륭
사실, 뭔지는 알고 있었지만. 보면 짜증나서, 관련한 기사나 유튜브나 뭐 이런 거 좀, 다 피했는데. 최근에 스트리머와 배구선수 죽은 거 보고서.. 정말.. 안되겠다 싶은 생각이 들었어요. 특정인을 대상으로 인신공격하고, 달려들...
너구리
가짜 뉴스를 만들고, 무분별하게 혐오표현을 사용하는 사람들을 처벌해야 한다고 생각이 들지만 과연 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도 함께 들어요😥
트리
유튜브에서 무분별한 콘텐츠들이 생산되는 것이 걱정이에요. 얼마 전에도 좋지 않은 일이 있었죠... 내가 보고 있는 콘텐츠에 대해 고민해봐야할 것 같아요. 나는 그냥 웃고 끝나지만 당사자는 그렇지 않으니까요...
숑
사이버렉카에 대한 처벌을 강화해야 합니다. 혐오 콘텐츠 만들지도 퍼나르지도 맙시다.
나나
사이버렉카라는 말이 무슨 뜻인지 몰랐지만 느낌은 확 오더군요. 정말 어떤 이슈 하나 생기면 득달같이 달려 들어서 마구 쏟아내는 것 같아요. 아님 말고라는 식이죠. 보면 얼굴을 가리거나 목소리를 변조하는 경우들이 많은데 가면 뒤에...
박소영
연애인들이 악플에 시달리다 사망한 사건들이 유투브로 옮겨 온 것 같아요. 더 무서운 것은 이런 콘텐츠는 돈벌이가 되니 더 심각하다는 거겠죠. 고인이 되신 분들의 이야기를 가지고 계속 콘텐츠로 소비하는 것을 보면 너무 참담한 마음...
물결
기사를 보니 사이버렉카에 대해 잘 다루고 있더라고요. 기사에는 혐오가 돈이 되는 매커니즘을 이렇게 설명합니다. 사이버렉카가 특정 대상을 지정해 저격하면 유사 언론 혹은 분별없는 언론이 이를 받아쓰면서 대중에 전파합니다. 기사와 ...
귤
누군가를 비하, 혐오, 차별하는 것이 돈벌이가 된다니 너무 무섭습니다. 일부러 찾아보지 않아도 SNS에서 우연히 이런 콘텐츠들을 보게 될 때가 있었는데, 이제는 절대 안 보려고 해요. 근데 이렇게 내가 안 보는 것으로 문제가 ...
참여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