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리버럴은 민주화운동, 한국의 보수는 경제발전을 자신의 존립 근거로 두고 있고, 한국의 근대는 민주화와 경제발전으로 요약 할 수 있다는 분석이 있습니다. 한국의 보수정치세력은 3당합당을 거치면서 5.18과 6.10을 받아들인 것이라고 해석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득문득 5.18과 6.10을 폄훼 심지어 부정해왔는데요. 


개혁신당은 이번의 상징적인 행위로 명백히 선을 그으면서 기존의 보수정치세력과의 차이를 보여주려 하네요. 이것이 생각보다 주목 받지 못하는 상황에서 나온 방어적인 생존의 몸부림으로도, 한국보수의 합리적 재정립의 시도로도 해석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어찌 될지는 지켜봐야겠지만 어찌됐건 유례 없는 상징적 행위가 이루어졌고 누군가에는 꽤나 힘을 발휘하게 될 것 같네요.

갯벌은 생태계의 보고입니다. 저어새의 서식지가 훼손되지 않도록, 갯벌 생태계의 보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애써 주셔서 감사합니다.

해저 케이블에 관한 이런 복잡한 문제가 있는지 모르고 있었네요. 안보 차원에 중요한 연구가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선취업 후진학 학습자의 다양한 면면을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때로는 선취업 후진학도 괜찮았겠다는 생각을 하고는 했는데, 연구 결과를 보고 싶어집니다.

"(1) 환경 개선과 관련된 상품 및 서비스를 생산하는 기업에 자금을 제공 (2) 환경을 파괴하는 기업에 자금공급을 차단하는게 녹색금융"


'녹색금융'이라는 개념을 처음 알게 됐네요. 자본주의 사회의 틀 내에서 기후위기를 극복하고 환경을 보전하기 위한 실천으로 힘을 가질 수 있을 것 같다는 느낌이 드네요. 저도 한 번 찾아봐야겠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비만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문제라는 말씀을 눈여겨 보게 됩니다. 극단적 반대 방향인 모두가 말라야 한다는 강박도 문제이겠지만, 건강을 해칠만큼 살찌게 만드는 사회적 환경 또한 건강을 챙길 수 있는 음식이 제공되고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변화 될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복지는 그 복지를 실질적으로 전담하여 수행하고 있는 노동자들의 노동 여건이 개선되고 권리가 보장 될 때 이루어질 수 있는 것 같습니다.

중요한 부분을 팩트체크해주셨네요. 뭔가 알 것 같지만 법리적으로 실상을 따져보지 않으면 알 수 없는 그런 내용이었습니다. 덕분에 상식이 하나 더 늘었습니다!

덕분에 AI의 최신 동향을 알 수 있었습니다. 양질의 정보에 감사드립니다. (_ _)

한국에서 노동권은 소자영업자들과 노동자들이 서로 싸우고 연대 할 수 없도록 만들어 자본의 지배를 유지하는데 복무하고 있는게 아닌가 하는 다소 과격한 생각이 문득문득 듭니다. 대기업은 '노조 할 권리' 등 노동권을 힘으로 찍어누르는 것 같습니다.

"청년이 결혼을 선택하기 어렵게 만드는 장기적·구조적인 요인을 함께 고려해야만 결혼이 급격하게 줄어드는 현상의 원인과 해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첫째, 자신의 생애에 대한 청년들의 전망이 나빠졌다.
...
둘째, 결혼의 경제적인 유인이 과거에 비해 감소하였다.
...
청년들이 결혼할 수 있는 사회로의 전환은 이렇듯이 비혼으로 남는 결정이 “합리적인 선택”이 되어버린 현실을 직시하는 데서 시작해야 한다."

지정학적 위치에 따른 균형 외교. 항상 강조 되던 이 관점을 다시 한 번 되짚어야 봐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앞으로가 걱정이네요.

종이 사용을 줄여서 푸르른 지구 만들면 좋겠습니다!

쌈밥 맛있답니다!

최저임금을 올려야 한다는 정당한 주장을 가로 막게되는 어려운 부분은 대부분의 노동자들만큼 어려운 소자영업자들의 상황을 어떻게 할 것인가인 것 같아요. 코로나때보다 더 힘들다는 기사가 가득한 상황이네요. 동시에 연계하여 다뤄지지 않으면 안 될 거 같은데.. 어떻게 대안을 마련할 수 있을까요?

일본에서 라인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일들에 대해 좀더 깊이 이해 할 수 있는 뉴스이네요. 복합적으로 얽혀 있는 여러 이슈들을 간접적으로 옅볼 수 있는 것 같습니다.

명예훼손 고소고발이 표현의 자유를 가로막아 민주주의의 장애물이 되는 지점에 대해 알 수 있는 영상입니다. '사실적시 명예훼손'은 특히 더 심각하구요.

윤 대통령이 거론한 대만은 정말 금투세 때문에 증시가 폭락했나?
https://www.khan.co.kr/economy/economy-general/article/202405091650001


①증시 ‘큰 손’ 외국인·기관은 적용 대상 아님
②대만 증시 폭락은 세금보다 금융실명제 영향
③오락가락 하는 조세 정책이 더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