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공직선거법상 국회의원지역구 획정기준(2020.3.4.기준)

2022.07.15

열린 기술과 시민의 힘으로 평화로운 세상을 만드는데 기여합니다.

내용

25조(국회의원지역구의 획정) ① 국회의원지역구는 시ㆍ도의 관할구역 안에서 인구ㆍ행정구역ㆍ지리적 여건ㆍ교통ㆍ생활문화권 등을 고려하여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라 획정한다.  <개정 2016. 3. 3.>

 

1. 국회의원지역구 획정의 기준이 되는 인구는 선거일 전 15개월이 속하는 달의 말일 현재 「주민등록법」 제7조제1항에 따른 주민등록표에 따라 조사한 인구로 한다.

2. 하나의 자치구ㆍ시ㆍ군의 일부를 분할하여 다른 국회의원지역구에 속하게 할 수 없다. 다만, 인구범위(인구비례 2:1의 범위를 말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에 미달하는 자치구ㆍ시ㆍ군으로서 인접한 하나 이상의 자치구ㆍ시ㆍ군의 관할구역 전부를 합하는 방법으로는 그 인구범위를 충족하는 하나의 국회의원지역구를 구성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 인접한 자치구ㆍ시ㆍ군의 일부를 분할하여 구성할 수 있다.

② 국회의원지역구의 획정에 있어서는 제1항제2호의 인구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농산어촌의 지역대표성이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신설 2016. 3. 3.>

 

③국회의원지역구의 명칭과 그 구역은 별표 1과 같이 한다.  <개정 2016. 3. 3.>

 

[제목개정 2016. 3. 3.]

 

[2004. 3. 12. 법률 제7189호에 의하여 2001. 10. 25. 헌법재판소에서 헌법불합치 결정된 별표 1을 개정함.]

 

[2016. 3. 3. 법률 제14073호에 의하여 2014. 10. 30. 헌법재판소에서 헌법불합치 결정된 이 조 제3항 별표 1을 개정함.]

참고

1. 선거구획정위헌사건 : 위키백과

 

 

2. 결정주요내용

  

 

공직선거법 제26조 제1항에 의한 [별표 2] 위헌확인

 

[전원재판부 2005헌마985, 2007. 3. 29.]

 

 

 

【판시사항】

 

1.시ㆍ도의원 지역선거구 간 인구편차의 허용기준 및 선거구구역표 중 경기도 용인시 제1선거구란, 제3선거구란, 제4선거구란, 전라북도 군산시 제1선거구란 획정의 위헌 여부(적극)

 

2.선거구구역표의 가분성 여부(소극)와 위헌선언의 범위

 

3.인구비례가 아니라 행정구역별로 시ㆍ도의원 정수를 2인으로 배분하고 있는 공직선거법 제22조 제1항의 위헌 여부(적극)

 

4. 위헌선언의 구체적 범위와 방법

 

5. 헌법불합치결정의 이유

 

 

 

 

 

【결정요지】

 

1. 가. 시ㆍ도의원 지역선거구의 획정에는 인구 외에 행정구역ㆍ지세ㆍ교통 등 여러 가지 조건을 고려하여야 하므로, 그 기준은 선거구 획정에 있어서 투표가치의 평등으로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인구비례의 원칙과 우리 나라의 특수사정으로서 시ㆍ도의원의 지역대표성 및 인구의 도시집중으로 인한 도시와 농어촌 간의 극심한 인구편차 등 3개의 요소를 합리적으로 참작하여 결정되어야 할 것이며, 현시점에서는 상하 60>#/span###의 인구편차(상한 인구수와 하한 인구수의 비율은 4:1) 기준을 시ㆍ도의원 지역선거구 획정에서 헌법상 허용되는 인구편차기준으로 삼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고 할 것이다.

 

나.경기도 용인시 제1선거구, 제3선거구, 제4선거구 및 전라북도 군산시 제1선거구의 경우 헌법상 인구편차 허용기준인 상하 60>#/span###의 편차를 넘어서는 것이어서, 이러한 인구편차를 통해서 발생한 투표가치의 불평등은 합리적 사유에 의하여 정당화될 수 없으므로, 공직선거법 제26조 제1항에 의하여 획정된 [별표 2]「시ㆍ도의회의원지역선거구구역표」(2005. 8. 4. 법률 제7681호로 개정된 것) 중 "경기도 용인시 제1선거구란, 용인시 제3선거구란, 용인시 제4선거구란" 및 "전라북도 군산시 제1선거구란"의 획정은 시ㆍ도의회의원 지역선거구 획정에서 헌법상 허용되는 국회의 재량 범위를 일탈한 것으로서 해당 선거구에 거주하는 청구인들의 헌법상 보장된 선거권과 평등권을 침해하는 것이다.

 

2. 각 시ㆍ도에 해당하는 선거구구역표는 전체가 불가분의 일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어느 한 부분에 위헌적인 요소가 있다면 각 시ㆍ도에 해당하는 선거구구역표 전체가 위헌의 하자를 띠는 것이라고 보아야 할 뿐만 아니라, 제소된 당해 선거구에 대하여만 인구과다를 이유로 위헌선언을 할 경우에는 헌법소원의 제소기간의 적용 때문에 제소된 당해 선거구보다 인구의 불균형이 더 심한 선거구의 선거구획정이 그대로 효력을 유지하게 되는 불공평한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으므로, 일부 선거구의 선거구획정에 위헌성이 있다면 각 시ㆍ도에 해당하는 선거구구역표 전부에 관하여 위헌선언을 하는 것이 타당하다 할 것이어서, 이 사건 선거구구역표 중 경기도의회의원 지역선거구들 부분과 전라북도의회의원 지역선거구들 부분 전체에 대하여 위헌선언을 하는 것이 상당하다.

 

3. 인구편차에 의한 투표가치의 불평등은 이 사건 선거구구역표 중 용인시 제1, 3, 4선거구 및 군산시 제1선거구 부분의 획정에서 뿐만 아니라 인구비례가 아닌 행정구역별로 시ㆍ도의원 정수를 2인으로 배분하고 있는 공직선거법 제22조 제1항에서 시원적(始原的)으로 생기고 있으므로 공직선거법 제22조 제1항도 결과적으로 청구인들의 헌법상 보장된 선거권과 평등권을 침해한다고 할 것이다.

 

4. 시ㆍ도의원 의원정수 배분 및 선거구구역표 획정의 문제는 자치구ㆍ시ㆍ군의 인구규모, 행정구역, 지세, 교통, 도시ㆍ농촌 간 인구편차, 지역별 개발 불균형 등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우리 재판소가 이에 관하여 일정한 개선입법의 방향까지 제시하기란 지극히 어려운 것이며, 위와 같은 사정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여기서는 단지 시ㆍ도의원정수를 2인으로 일률적으로 규정한 공직선거법 제22조 제1항 및 이에 기초한 이 사건 선거구구역표 중 해당 부분에 대한 위헌선언을 하는데 그치기로 한다.

 

5. 이미 위 법률조항과 선거구구역표 부분에 기한 시ㆍ도의원선거가 실시된 상황에서 단순위헌의 결정을 하게 되면, 그 개정입법이 빠른 시일 내에 이루어지기 어렵다고 할 것이어서 추후 재선거 또는 보궐선거가 실시될 경우 법의 공백이 생기게 될 우려가 큰 점, 시ㆍ도의회의 동질성 유지나 의원정수와 선거구구역표의 변경으로 인한 혼란을 방지하기 위하여도 재선거, 보궐선거 등이 치러지는 경우에 위 법률조항과 선거구구역표에 의하여 이를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한 점 등에 비추어, 입법자가 2008. 12. 31.을 시한으로 이를 개정할 때까지 위 법률조항과 선거구구역표의 잠정적 적용을 명하는 헌법불합치결정을 하기로 한다.

 

 

 

 

 

재판관 김종대의 별개의견

 

선거구획정에 있어서 기본 틀이 되는 핵심적인 사항은 어디까지나 인구비례의 원칙이고, 그 이외의 비인구적 요소 즉 행정구역ㆍ지세ㆍ교통ㆍ도시와 농어촌과의 차이점, 기타 여러 가지 정책적 요소 등은 부수적인 고려사항이다.

 

최대선거구와 최소선거구 간의 인구편차가 2:1 이상 벌어진 경우에는 최소선거구의 선거인에게 최대선거구의 선거인과 비교하여 두 사람 몫 이상의 투표가치를 인정하는 것이 되어 현저한 불평등을 초래하므로 인구편차 2:1은 선거구획정에서 꼭 지켜져야 할 논리적이고 산술적인 평등선거 제한의 한계가 되는 것이다.

 

 

 

 

 

재판관 이공현, 재판관 조대현의 반대의견

 

헌법 제118조 제2항은 지방의회의원의 선거에 관한 사항을 법률로 정하도록 위임하였고, 공직선거법은 기초자치단체의 의원은 인구수를 고려하여 선출하도록 하면서 광역자치단체의 의원은 각 기초자치단체의 인구수를 불문하고 각 기초자치단체마다 2인씩 선출하도록 하고 있는바, 이러한 지방의원 선출기준의 구별은 기초자치단체와 광역자치단체의 중층적(重層的) 구조와 기능의 차이를 반영한 것으로서 나름대로 합리성을 가진 선택방안이라고 볼 수 있으므로 헌법에 위반된다고 보기 어렵다. 따라서 광역자치단체의 의원 선거에 있어서는 각 기초자치단체별로 2인씩 선출하게 되므로, 동일한 기초자치단체 내에서 선거구별 인구비례를 따질 수 있을 뿐이고 서로 다른 기초자치단체의 선거인수를 비교하여 선거의 평등을 따져서는 안된다.

 

 

 

 

 

【심판대상조문】

 

공직선거법(2005. 8. 4. 법률 제7681호로 개정된 것) 제22조(시ㆍ도의회의 의원정수) ① 지역구시ㆍ도의원정수는 그 관할구역안의 자치구ㆍ시ㆍ군(하나의 자치구ㆍ시ㆍ군이 2 이상의 국회의원지역선거구로 된 경우에는 국회의원지역선거구를 말하며, 행정구역의 변경으로 국회의원지역선거구와 행정구역이 합치되지 아니하게 된 때에는 행정구역을 말한다)마다 2인으로 한다.

 

②~④ 생략

 

공직선거법(2005. 8. 4. 법률 제7681호로 개정된 것) 제26조(지방의회의원선거구의 획정) ① 시ㆍ도의회의원지역선거구(이하 "시ㆍ도의원지역구"라 한다)는 인구ㆍ행정구역ㆍ지세ㆍ교통 기타 조건을 고려하여 자치구ㆍ시ㆍ군(하나의 자치구ㆍ시ㆍ군이 2 이상의 국회의원지역구로 된 경우에는 국회의원지역구를 말하며, 행정구역의 변경으로 국회의원지역구와 행정구역이 합치되지 아니하게 된 때에는 행정구역을 말한다)을 분할하여 이를 획정하되, 하나의 시ㆍ도의원지역구에서 선출할 지역구 시ㆍ도의원정수는 1인으로 하며, 그 시ㆍ도의원지역구의 명칭과 관할구역은 [별표 2]와 같이 한다.

 

[별표2]시ㆍ도의회의원지역선거구구역표(지역구:636) 중 용인시 및 군산시 부분

 

②~④ 생략

 

 

 

 

 

【참조조문】

 

공직선거법(2005. 8. 4. 법률 제7681호로 개정된 것) 제21조(국회의 의원정수) ① 국회의 의원정수는 지역구국회의원과 비례대표국회의원을 합하여 299인으로 하되, 각 시ㆍ도의 지역구 국회의원 정수는 최소 3인으로 한다.

 

② 하나의 국회의원지역선거구에서 선출할 국회의원 정수는 1인으로 한다.

 

공직선거법(2005. 8. 4. 법률 제7681호로 개정된 것) 제25조(국회의원지역구의 획정) ① 국회의원지역선거구(이하 "국회의원지역구"라 한다)는 시ㆍ도의 관할구역 안에서 인구ㆍ행정구역ㆍ지세ㆍ교통 기타 조건을 고려하여 이를 획정하되, 구(자치구를 포함한다)ㆍ시(구가 설치되지 아니한 시를 말한다)ㆍ군(이하 "구ㆍ시ㆍ군"이라 한다)의 일부를 분할하여 다른 국회의원지역구에 속하게 하지 못한다. 다만, 제21조(국회의 의원정수) 제1항 후단의 요건을 갖추기 위하여 부득이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② 국회의원지역구의 명칭과 그 구역은 [별표 1]과 같이 한다.

 

공직선거법(2005. 8. 4. 법률 제7681호로 개정된 것) 제26조(지방의회의원선거구의 획정) ① 생략

 

②자치구ㆍ시ㆍ군의원지역구는 인구ㆍ행정구역ㆍ지세ㆍ교통 그 밖의 조건을 고려하여 획정하되, 하나의 자치구ㆍ시ㆍ군의원지역구에서 선출할 지역구자치구ㆍ시ㆍ군의원정수는 2인 이상 4인 이하로 하며, 그 자치구ㆍ시ㆍ군의원지역구의 명칭ㆍ구역 및 의원정수는 시ㆍ도조례로 정한다.

 

③제1항 또는 제2항의 규정에 따라 시ㆍ도의원지역구 또는 자치구ㆍ시ㆍ군의원지역구를 획정하는 경우 하나의 읍ㆍ면ㆍ동의 일부를 분할하여 다른 시ㆍ도의원지역구 또는 자치구ㆍ시ㆍ군의원지역구에 속하게 하지 못한다.

 

④자치구ㆍ시ㆍ군의원지역구는 하나의 시ㆍ도의원지역구 내에서 획정하여야 하며, 하나의 시ㆍ도의원지역구에서 지역구자치구ㆍ시ㆍ군의원을 4인 이상 선출하는 때에는 2개 이상의 지역선거구로 분할할 수 있다.

 

 

 

 

 

【참조판례】

 

헌재 1991.3. 11. 91헌마21, 판례집 3, 91, 99-100

 

헌재1995.12.27.95헌마224등, 판례집 7-2, 760, 771-788

 

헌재2001.10.25.2000헌마92등, 판례집 13-2, 502, 509-516

 

헌재1995.12.27.95헌마224등, 판례집 7-2, 760, 789-791

 

헌재2001.10.25.2000헌마92등, 판례집 13-2, 502, 518-519

 

헌재 2001. 10. 25. 2000헌마92등, 판례집 13-2, 502, 510

 

헌재 2001. 10. 25. 2000헌마92등, 판례집 13-2, 502, 519

활용사례


문희상 "선거구 획정안 법률에 배치"...수정요구되나 [출처: 머니투데이 2020.3.3]

문희상 국회의장이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선거구획정위가 3일 국회에 제출한 선거구 획정안에 대해 아쉬움을 내비쳤다. 문 의장은 강원도 6개군이 묶으면서 선거구가 기존 5곳에서 4곳으로 줄어드는 데 대해 "농어촌 산간 지역에 대한 배려가 아쉽다"는 취지로 말했다. 한민수 국회 대변인에 따르면 문 의장은 이날 오후 획정위로부터 선거구획정안을 제출 받은 뒤 "개정된 공직선거법상 농어촌 산간 지역을 배려하기 위해 노력한다고 돼 있는데, (강원 지역) 6개 군을 묶는 것은 법률에 배치되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서울 8배 면적 강원 선거구 등장…여야 “선관위 획정안 졸속” 반발 [출처: 한국일보 2020.3.4.]

야당도 반발했다. 통합 지역으로 분류된 김명연(안산 단원갑) 미래통합당 의원은 이날 기자회견을 갖고 “호남 의석과 특정 정치인의 지역구를 지켜주기 위해 안산 시민을 희생시킨 ‘반헌법적’ 선거구 획정’이라고 비난했다. 획정위 안건을 보고 받은 문희상 의장도 “개정 공직선거법상 농어촌 및 산간 지역 배려를 위해 노력한다고 했는데 6개 군을 묶는 것은 법률에 배치되는 것 같다는 생각이라고 했다”고 한민수 국회 대변인이 전했다. 강원에서 6개 시ㆍ군이 묶인 것을 지적한 것이다. 이에 대해 획정위는 2014년 지역구간 편차가 2배를 넘겨서는 안 된다는 헌법재판소 결정에 따라, 법과 원칙을 지켜 내린 결론이라고 했다. 또 일각에선 통상 여야간 합의에 기반해 국회가 획정안을 만들어야 하지만 그러지 못해 획정위가 나선 만큼 국회의 안일한 태도를 지적하는 목소리도 있다. 한 민주당 재선 의원은 “통상 국회 정치개혁특위에서 분구ㆍ통합지역, 지역구 내 관할 구역 편입 여부 등 여야의 의견을 취합한 뒤 안을 만들어야 하는데 이런 과정이 미흡했다”고 지적했다.

데이터에 관한 의견이 있으세요?
커뮤니티에서 의견을 나눠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