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

핀란드의 교육제도에서 배우는 우리나라 교육제도의 문제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

2023.06.14

1,274
2

최근 oecd 교육 2030에서 제시한 미래 교육의 방향 첫 번째는 변혁적 역량(미래사회를 바람직하게 바꾸는 능력)을 기르는 교육, ‘한 명도 포기하지 않는 책임교육’을 추진하는 것이다. 우선 미래사회를 바꿀 수 있는 역량을 길러주기 위한 첫 출발점은 질문하는 것에서 시작 한다. 하지만 우리 아이들은 질문하지 않는다. 질문하지 않는다는 것은 생각을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세태가 생겨난 것은 현제 우리 나라의 입시제도인 수능 때문이다. 수능은 당연하게도 생각을 요구하지 않는다. 단순히 문제푸는 법과 , 문제를 빨리 푸는 요령만 익힌다면 이 시험을 잘 치러낼 수 있다. 그러다보니 학생들은 질문하지 않는다.변혁적 역량을 길러주는 교육이 되기 위해서는. 스스로 질문을 통해 문제를 제기하고 이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길러주는 교육을 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하지만 현재의 결과중심형 평가로는 이러한 교육이 이뤄질 수가 없다.이러한 우리나라의 교육제도는 아이들의 다양한 가능성과 성장가능성도 고려해주지 않는다.사람들 각자 자신이 하고 싶은 꿈이 있고 하고 싶은 공부가 있을 것이며, 지금 당장 꿈이 없더라도 학교에서 다양한 경험을 통해 꿈을 찾아갈 수도 있다. 하지만 현재의 평가체제는 당장 지금의 성적을 요구하여 이러한 점을 모두 무시한 채 공부만을 강조하게 된다. 이러다보니 수업에 뒤떨어지는 아이, 학교에서 하는 공부와 자신의 진로와 맞지 않아서 수업을 포기하는 아이가 생겨나게 된다. 이러다 보니 학교는 공부 잘하는 아이들의 놀이터가 되고 교사 입장에서도 수능과 시험에 맞추어 진도 나가기에만 급급하게 되어 수업에 적응하지 못하는 아이들을 챙겨주지 않는다. 즉 현재의 평가제도가 ‘한명도 포기하지 않는 책임교육’을 이뤄내는데 방해가 되는 셈이다.이런 관점에서 봤을 때 현재의 평가로는 미래 교육으로 나아 갈 수 없으니 평가 혁신을 통해 수업 혁신을 촉진하여  미래 교육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이러한 평가의  혁신을 위해서는 핀란드의 평가 체계에서 그 교훈을 얻을 필요성이 있다.  

핀라드의 교육 체계의 핵심은 과정중심평가이다. 핀란드는 이러한 평가의 시행의 필요성을 국가 교육관련 법에 명시가 되어 있기 때문에 과정중심평가의 진행자체가 핀란드의 교육 체계내에서 관습적으로 잘 이루어지고 있다. 이 평가는  학교 내에서 교사가 평가를 진행할 때  학생의 성적만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의 전반적인 학습과 발전을 평가하는 개념이라고 한다.  이러한 평가의 특징 첫번째는 협력과 개별평가가 주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핀란드에서는 학생들이 협력을 통해 과제를 수행하고 평가받는 것을 강조한다. 그들은 개별적인 평가보다는 팀 프로젝트, 그룹 활동, 발표 등 협력과 관련된 평가를  진행하고 이를 통해 문제해결능력, 창의적 사고능력, 협업능력의 성장을  유도할 수 있도록 교사가 수업을 설계한다 .

이러한 핀란드 교육 선진국의 방식을 토대로 우리는 교육 혁신 평가의 혁신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평가의 반영을 위해서는 현재의  지필고사형 시험에서 논술형 평가를 통해 자신이 공부한 것을 바탕으로 자신의 생각을 정리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현재의 지필고사형 평가는 암기만 잘하면 시험을 잘 치를 수 있다보니 생각을 할 필요가 없다. 논술형으로 시험을 치르되 다양한 논쟁거리를 던져줄 수 있는 문제를 통해 아이들의 다양한 생각을 종합하고 평가하고 적절한 피드백을 통해 아이들이 생각을 더 넓게 할 수 있도록 현재의 수능식 시험에서 프랑스의 바칼로레아와 같은 시험처럼 확산적 질문을 통해 다양한 생각의 나래를 펼쳐나 갈 수 있는 질문이 필요하다.

또 현재의 결과 중심평가에서 성장중심평가의 전환으로 평가 혁신을 추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자기 주도성을 살린 학생 참여형, 협력형 수업을 진행하여 아이들의 변화를 관찰 할 예정이다. 예를 들면 역사에서 프로젝트 학습을 통해 역사에서 문제를 제시하고 그 주제에 대한 답을 찾게 함으로서 자신보다 유능한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인지발달을 시켜줌으로서 문제를 해결하게 하는 것이 수업에서 큰 효과를 발휘할 가능성이 있다.  또 협력형 수업은 1명도 소외되지 않고 모두의 참여를 유도하는 수업이므로 생각하는 능력 뿐 아니라 한 명도 소외받지 않는 책임교육을 실천하는 과정중심평가로의 변화가 우리 교육의 변화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 포인트가 되지 않을 까 생각해본다.

앞으로 우리 교육은 달라져야 하고 지금도 달라지고 있다. 현재의 입시제도가 이르면 2024년부터 지금의 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로 달라지게 되고 고교학점제 시행을 통해 학생들이 무조건적으로 학교에서 정해준 수업을 들어야 했던 과거의 입시제도에서 자발적으로 자신의 수업을 선택할 수 있는 큰 변화도 앞두고 있다. 현재 교육부장관인 이주호장관은 장기적으로 수능의 비중을 줄여야 한다는 의중을 가지고 있다고 하니 앞으로 입시에시의 수능 비중도 줄어들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는 oecd에서 제시한 2030미래교육인 한 명도 포기하지 않는 교육, 변혁적 역량을 길러주게 하기 위해서는 평가혁신을 통한 수업의 변화가 절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우리 사회내에서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지켜봐야 하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이슈

교육 공공성

구독자 123명

평가의 혁신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동의합니다. 물론 평가만 바뀌어서는 안 되겠지요. 결국 교육과 평가가 함께 바뀌어야 하는데, 현재 한국의 교육 및 입시 체계를 고려했을 때 이러한 동시적이고 급진적인 변화는 사실상 불가능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실현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교육과 평가의 분리(입시준비학교 도입, 공교육기관 자율성 강화 등)를 위한 대책을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는 생각도 드네요.

미니 비회원

주입식 교육 그만해야합니다.

캠페인

투표

토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