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고 싶은 동네에서 살고 싶다. 살고 싶은 동네를 선택할 수 있다는 것도 너무 큰 꿈이에요.

강남구 외 24명 에게 촉구합니다.

안녕하세요. 늘 시민을 위해 열심히 일하시는 주무관님께 감사 드리며, 새를 사랑하는 시민으로서 간곡히 요청할 사안이 있어 이메일을 보냅니다.

유리창에 새가 부딪혀 죽는 일이 더 이상 없도록 구청 차원에서 계획을 수립하고 꾸준히 지켜나가 주세요!

지난 6월 11일부터 시행된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야생생물법 개정안') 제8조의2에 따라, 앞으로는 공공기관이 건축물, 방음벽, 수로 등 인공구조물에 의한 야생동물 충돌⋅추락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저감조치를 시행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귀 구청에서도 개정된 야생생물법을 준수하여 더 이상 새들이 유리창에 부딪혀 죽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 저감조치를 시행하고 모니터링해 주시길 시민으로서 요청 드립니다. 아직 예산이 확보되어 있지 않다면 유리창 새 충돌을 막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여 예산 확보를 위해 애써 주시고 시행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연관찰 플랫폼인 '네이처링' 내 '야생조류 유리창 충돌조사' 미션에 기록된 데이터에 따르면, 2017년 4월부터 2023년 4월까지 조사된 서울시내 유리창 새 충돌 사고만 해도 2,558건에 달합니다. 이는 새 충돌 문제에 관심 있는 시민들이 각지에서 발생한 유리창 새 충돌 사고를 기록하여 모은 데이터이기 때문에 실제 충돌 건수는 이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예상되고요. 더욱이 서울시내에서 유리창 충돌 사고로 기록된 새의 종류는 도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비둘기나 참새뿐 아니라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인 새매와 솔부엉이, 소쩍새,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인 참매, 이외에도 호랑지빠귀, 붉은머리오목눈이, 노랑딱새, 멧도요, 벙어리뻐꾸기, 흰눈썹황금새, 오색딱따구리, 파랑새 등 매우 다양합니다. 새 충돌 사고는 도시와 농촌을 가리지 않고 매일 일어납니다. 대도시라고, 우리 구에는 그런 민원이 들어오지 않는다고 문제를 외면하지 마시고 관내 건물과 방음벽 주변에 충돌 사고가 없는지 모니터링부터 시작해 주십시오. 

제 의견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답장으로 의견 남겨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압류의 원인은 다양하니 등본 데이터만으로 정확한 이유를 알기는 어렵겠지만, 말소된 후 소유권이 이전되어도 다시 압류가 걸리는 집들의 경우는 집이 아닌 소유주의 문제라고 보이기는 하네요. 압류 내역 하나가 세입자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지, 주거환경에 대한 전반적인 공감대가 좀 더 높아져야 한단 생각은 듭니다.

앞으로의 각 팀 활동들도 너무 궁금하지만, 서로가 서로에게 보이는 관심들이 무척 인상 깊었습니다! 작게 연결되어 있는 기분 속에서 멋진 활동들 함께 만들어나가보아요!??

일상 가까이에 있지만 관심 갖기 어려운 이들의 삶과 데이터, 멋지네요! 이어질 리어카 메이커 활동도 기대합니다~?

공감되는 부분이 많네요:) 자전거를 타는 게 개인이 불편을 감수하고 의지를 내어야만 가능한 게 아니라, '타면 좋을 수밖에 없는' 환경이 도시 안에 자연스럽게 만들어졌으면 좋겠습니다.

옛날엔 유독 더 불편해야 했던 분리수거, 텀블러 사용, 채식같은 움직임들이 조금씩 보편화되고 가끔은 당연해지기도 하는 것들을 보면서.. 언젠가 자전거도 취향과 기호가 아닌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겠지 하는 생각도 해봅니다?

시장의 투명성이라는 말에 공감합니다:)

취약계층 고려나 여성임원 비율이 개별 기업의 선의로 이루어지는 게 아니라, 당연히 해야 하는 것이 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고민이 되네요. '하면 좋은 것'이 아니라, 제대로 지키지 않았을 때 고객들이 돌아서고 기업의 이윤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해요.